영농자료 재배기술
청경채 재배기술
작성자관리자
- 등록일 25-03-21
- 조회5회
- 이름관리자
본문
1) 파종과 육묘
- 품종 선택: 이른 봄재배 시 저온과 장일조건을 고려하여 연중 생산체계를 구축해야 함.
- 직파: 토양이 건조하면 발아가 나빠지므로 파종 전에 충분한 관수 필요.
- 줄 간격 15cm, 주 간격 15cm로 1구당 2~3립 파종.
- 발아까지 토양이 건조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수 필요.
- 육묘: 포트에서 본엽 2.5~3매까지 키운 후 정식.
- 재식거리 15cm × 10cm 가능.
- 터널식 피복이 효과적.
- 본엽 1.5~2매 시기에 솎아주어 포트당 1주만 남김.
- 종자 소요량(10a 기준):
- 직파: 600~800mL
- 육묘: 160~200ml (20ml당 4,500~5,000립)
2) 정식 후 관리
- 활착을 위한 물 관리 필수, 고온 건조 시 칼슘 결핍 발생 가능.
- 재식주수(10a당):
- 여름철: 넓은 간격 (약 3,200주)
- 봄·가을·겨울: 좁은 간격 (약 6,000주)
- 한여름 정식 시:
- 저녁에 정식 후3~5일간 50~60% 차광 필요.
- 멀칭재배 시 폭 135cm에 여섯 줄, 15cm 구멍의 비닐 사용 추천.
3) 비료 주기
- 밑거름(10a 기준):
- 질소 12~15kg, 인산 10~12kg, 칼륨 10~12kg
- 파종 1주일 전 전면 살포 후 경운.
- 생육 기간 중 액비를 웃거름으로 사용하여 영양 상태 조절.
4) 병충해 관리
- 저농약·무농약 재배가 중요.
- 예방 관리
- 육묘 시 철저한 방제 필요.
- 진드기 유인을 위한 노랑·파란색 종이테이프, 한랭사 활용.
- 주요 병해
- 노균병: 고온다습 환경에서 잎의 기공·상처부위 감염됨.
- 연부병: 토양 습도 증가 시 발생(잎줄기 물러지고 악취).
- 석회 부족 시 발생하므로 염화칼슘(20L 물 + 60g) 엽면시비 필요.
- 바이러스병:
- 진딧물 매개 → 충분한 유기물·밑거름 공급 및 진딧물 방제 필요.
- 노란색 접착제를 작물 위 15cm 높이에 설치.
- 해충 방제
- 여름철 배추좀나방 피해 심각 → 예방 관리 필요.
첨부파일
- 농업기술길잡이140_엽채류.PDF (23.8M)